반응형

Unity flow를 검색해보시면 많은 이미지가 나옵니다.


그냥 보시면 뭔가 흘러가는건 알겠는데.... 이건 뭐라는거야 하실거에요.


저도 이부분을 얼마 전에 알게되어서 기존에 어렵게 구현했었던 것들이 생각이 나더라구요.


그래서 이번에 간단히 정리를 해보려고합니다.


1. Awake()

>이부분은 Start가 시작되기 전에 세팅이 필요한 내용들을 입력하세요.

> 보통 특정 변수의 값 또는 함수의 설정을 다루게 됩니다.


2. Start()

> 스크립트가 시작될 때, 시작되어야 하는 것들을 입력하세요.


3. update()

> Start 부분이 완료된 후, 프레임 마다 체크하면서 동작을 수행하게 됩니다.

> Update는 편한 만큼 많은 스크립트를 제어하게되면 부하가 많이 걸리는 부분입니다.

> 가능하면 적게 사용하거나 ! 코르틴을 사용하여 처리하는게 좋다고 합니다.


4. OnEnable()

> 이건 설정된 오브젝트가 활성화 될 때,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 특정 오브젝트가 반응하여 활성화 될때, 이 함수 부분이 있다면 동작하게되죠.

> 이게 없다면 보통 start 부분에 설정을 하게 되는데요.. 그러다보면 반복적인 동작에서 생각했던 것과 다른 동작을 확인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5. OnDisable()

> 이건 오브젝트가 비활성화 될 때, 시작되는 부분입니다.

> 보통 '적' 이 죽는 경우, 비활성화 시키고 .... 내부적으로 Destroy 또는 Push 등을 하게 됩니다.


6. Reset()

> 이부분은 에디터 상에서나 스크립트를 Reset하는 경우 시작되는 함수입니다.

> 최초 설정값등을 세팅하면 편할듯합니다. 


오늘은 많이 쓰이는 6가지인데요...

전 OnEnable , OnDisable 을 모르고 코딩하느라 고생한 부분이 생각이 나더라구요.


배우는걸 잘 사용하는 것도 좋지만 항상 공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그럼 오늘도 모두 즐거운 하루 되세요~

반응형

'개발이야기 > Unity & C# 코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admob 두번째 - 기다려도 광고가 안나와요.... ㅠㅠ  (0) 2018.03.23
코르틴(Coroutine)  (0) 2018.03.10
Rigidbody(2D) constraints 설정  (0) 2018.03.07
Admob 배너광고  (0) 2018.02.08
IsEnabled  (0) 2018.02.08
반응형

 Unity > PlayerPrefs 암화를 위한 어셋


// 사용 주의 사항

1. start 및 awake 부분에 해당 선언 필요 

선언하지 않은 경우, 대량의 경고를 출력합니다.

ZPlayerPrefs.Initialize("xxxxx","xxxxx");


2. 횟수 설정

기본 99등 높은 수치가 설정되어있음

적당한 수치로 변경 (암호화 횟수로 많이 할 경우, 속도에 영향이 있다고함)

ZPlayerPrefs.cs > const int Iterations = 5;


3. Set 과 Get

일반 Playerprefs 는 set이 없다라도 별도의 디폴트값만 있다면 Get 경고를 출력하지않습니다.

ZPlayerPrefs의 경우, Get하기 전, Set이 없다면 다량의 경고를 출력합니다.


초기화와 같인 Set을 초기에 설정하는 부분을 습과화하여 처리하는 것이 신경이 덜 쓰이게 됩니다.


https://www.assetstore.unity3d.com/kr/#!/content/32357

반응형

'개발이야기 > 외부 기능 연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packing(난독화)  (0) 2018.07.12
Admob 베너 광고 끄기  (0) 2018.04.04
Google Play Game Center 연동  (0) 2018.04.03
Advertisements, ShowResult (Version=1.0.0) 오류  (0) 2018.03.07
원스토어 IAP 연결하기  (2) 2018.02.03
반응형

해당 내용은 여러 사이트의 글을 토대로 정리차원의 글입니다.


1. 개발자 등록 

>> 테스트까지는 결제를하지않아도 된다는 글도있었지만 필자는 정상 결제 까지 완료하여 이후도 진행하였기에 기준을 결제하여 진행하는것으로 생각해주세요

>> 약 하루의 기간을 생각하고 진행에 막힘이 없더록 미리 계산하여 진행해주세요

>> 저같은 경우, 등록과정에서 결제에서 상태가 변경되지 않아 apple쪽에 메일을 보내서 처리를 요청하였습니다.


참고사이트 : http://tech.whatap.io/2016/04/27/apple-%EA%B0%9C%EB%B0%9C%EC%9E%90-%EA%B3%84%EC%A0%95-%EB%93%B1%EB%A1%9D%ED%95%98%EA%B8%B0/

Apple App Store 에 앱을 개발하여 올리기 위해서는, Apple 개발자 계정을 등록 하여여 합니다.

https://developer.apple.com

에서 개발자 계정을 만들수 있습니다.

capture-20160425-223911

현재는 6월에 예정된 Apple Worldwide Developers Conference (WWDC) 2016 안내를 해서, 평소와는 다소 다른 디자인으로 웹사이트에 보여지고 있습니다.

Account 버튼을 누릅니다.

capture-20160425-224439

Apple 사용자 계정이 있으시면, 기존 계정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Apple 사용자 계정 생성

capture-20160425-224530

정보를 채우고, 제출을 누릅니다.

capture-20160425-224943

인증번호는 이메일로, 위와 같은 형식으로 옵니다.

capture-20160425-224850

이메일로 수신한  6자리 인증 번호를 넣습니다.

  

Apple 개발자 계정 등록하기

capture-20160425-225650

시작을 누룹니다.

capture-20160425-225900

개인은 개인을 선택하시면됩니다.

 

capture-20160425-225911


이후는 별다른 내용이 없어서 내용 확인 하시면서 진행하시면됩니다.

다완료하시면 개발자 계정 비용을 납부하도록 연결됩니다.

Apple 개발자 계정 비용 납부하기

capture-20160425-235200

로그인하고,

capture-20160427-121719

동의합니다.

capture-20160427-121744

비용을 확인하고

capture-20160427-121944

결제 정보를 채워 넣습니다.

capture-20160427-133217

capture-20160427-133242

결제 진행합니다.

capture-20160427-133408

우려와 달리, 맥에서도 신용카드 결제 창이 잘 뜹니다.

국내 발급 카드인 경우,  VISA 나 MASTER 로고가 있어도, 국내 카드를 선택 하면 됩니다.

결제 정보를 채우고 결제 버튼을 누릅니다.

capture-20160427-134100

납부가 완료되면, 등록 완료 메일이 도착합니다.

capture-20160427-144248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개발자 계정의 기능이 활성화 된 것을 확인 할수 있습니다


2. Account 계정 설정

>> 결제까지 완료 후, 해당 내용을 진해하여야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이트:http://youngchangoon.tistory.com/22?category=597051



순서는 개발자 등록 및 프로비저닝 파일 다운 -> 앱 빌드 가 되겠습니다.
먼저, IOS Developer (https://developer.apple.com/) 에 가셔서 가입을 해야합니다.
가입을 하고, Account칸을 눌러주세요.


Certificates, IDs & Profiles에 들어가셔서,



+ 표시를 눌러 Certificate를 추가해 줍니다.



개발을 하기위해 Develoment 를 선택




CSR 파일이 필요하다고 나옵니다

CSR파일은 맥에서 키체인이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 수 있습니다.



커맨드 + 스페이스바로 키체인을 실행시켜주시고,

아래 그림대로 인증기관에서 인증서 요청을 눌러줍니다.



CSR 파일이 나오면, 아까 하던 웹에 올려줍니다.

그럼 인증서 제작이 완료되는데요, 완성된 인증서를 다운받아 더블클릭하면

자동으로 keyChain에 등록됩니다.






이제 인증을 마쳤으니 테스트할 기기를 등록을 해야합니다.

아까 Developer 사이트에 메뉴중 Devices - All에 들어가셔서 새로운 기기를 추가해줍니다.



추가를 하려고보니, UDID가 뭐야 하실 수 있습니다. ( 제가 그랬어요.. )



UDID는 기기를 MAC에 꽂아 아이튠즈에 가시면 일련번호가 있는데 이것이 UDID입니다.








자, 이제 인증서도 만들었고, 테스트 기기도 등록했으니 끝!

이 아니라 AppID와 Provisioning Profile을 만들어야 테스팅 앱을 만드 실 수 있습니다. 


결국 최종적으론 Provisioinig Profile이 있어야 IOS 빌드를 하실 수 있습니다.



App IDs 로 우선 가셔서 App ID를 추가해줍니다.




이부분을 보시면 BundleID 라고 적혀있는데,

아래에서 추천하는대로 적어줍니다.

여기서 Unity 번들 ID와 통일하여 줍니다. // 저는 등록시 동일하게 하였을 때 별다른 이슈는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ex) com.회사이름.앱이름





마지막에 App Service란에 보시면 Push Notifications가 기본으로 해제되어 있는데,

나중에 앱등록 할때, 푸쉬알림 키라고 권고메일이 올릴때마다 날라옵니다..

그래서 그냥 켜주실분은 켜주세요 ㅋㅋ









App ID를 다 만들고, Provisioning profile을 추가하면,

어떤 타입으로 만들껀지 나오는데, 개발용도에 맞게 IOS App Development로 설정해 주시고,

나중에 배포할 용도로 만드시려면 Distribution란에 App store를 체크해 주세요.




아까 만들었던 ID로 설정해주세요.

(터치하면 리스트가 출력됩니다)





아까 만들었던 인증서를 체크해주시고,




아까 등록했던 디바이스를 체크해주세요.





이제 다만드신 파일을 다운 받으시고 더블클릭하시면 자동으로 맥에 등록됩니다.

더블클릭시 저는 별다른 반응 없이 진행이 되었었습니다....

여기까지가 빌드를 하기위한 준비 절차 였습니다.





3. 빌드 전 세팅

>> 빌드를 진행하기전 간단한 세팅 정보가 있습니다.





xcode > preferences 부분에 Accounts 부분에 개발자 등록을한 계정을 입력합니다.





정상적으로 등록하시면 위와같이 계정이 저장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까지 설정 후, 혹시 인엡설정을 하신 분이라면 http://blog.naver.com/suhogumsa/221174920386 여기로 가셔서 해당 내용도 세팅해주세요.


 


반응형

'개발이야기 > IOS - 설정 편' 카테고리의 다른 글

IOS 빌드 시 선택  (0) 2018.07.11
Xcode - cocoapod 설정  (0) 2018.04.07
XCode 세팅 처리 부분  (0) 2018.02.05
xcode 빌드 오류  (0) 2018.02.05
IOS IAP 동작안할때....  (0) 2018.02.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