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리모트 세팅 자체를 모르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리모트 세팅에서는 다양한 부분을 제공하지만 그 중 서버 없이 값을 조절해야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 드립니다.


1. 리모트 세팅 접근


Unity -> Service -> Analytice 활성화


Unity Dashboard 사이트 접근 -> Operate -> Optimization -> Remote Settings



2. 무엇을 할 수 있는가?


여기서는 Int , float, string , bool 값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3. 언제 써먹을 수 있는가?

ex) 특정 시점에만 팝업을 열고 싶을 때, 해당 기능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해당 int 값에 따라서 팝업이나 광고를 열고 닫을 수 있게 할 수 있습니다.


4. 스크립트는 어찌 사용하나?

유니티 예제 코드입니다.

코드 보시고서 활용하시면 문제없습니다.


using UnityEngine; public class RemoteTuningVariables : MonoBehaviour { public float DefaultSpawnRateFactor = 1.0f; public float DefaultEnemySpeedFactor = 1.0f; public float DefaultEnemyStrengthFactor = 1.0f; public static float SpawnRateFactor{ get; private set; } public static float EnemySpeedFactor{ get; private set; } public static float EnemyStrengthFactor{ get; private set; } void Start () { SpawnRateFactor = DefaultSpawnRateFactor; EnemySpeedFactor = DefaultEnemySpeedFactor; EnemyStrengthFactor = DefaultEnemyStrengthFactor; RemoteSettings.Updated += new RemoteSettings.UpdatedEventHandler(HandleRemoteUpdate); } private void HandleRemoteUpdate(){ SpawnRateFactor = RemoteSettings.GetFloat ("SpawnRateFactor", DefaultSpawnRateFactor); EnemySpeedFactor = RemoteSettings.GetFloat ("EnemySpeedFactor", DefaultEnemySpeedFactor); EnemyStrengthFactor = RemoteSettings.GetFloat ("EnemyStrengthFactor", DefaultEnemyStrengthFactor); } }


5. 주의 사항


* Remote Settings 보시면 Development 와 Release 를 선택하게되어 있습니다.


* Unity 자체에서 테스트 할 경우, Development 에 세팅하여 사용해 주세요.


* 값 변경 후에는 우측의 SYNC를 눌러서 적용 시켜주세요.


* 변경된 값이 적용되기 까지 최대 1분정도가 소요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게임을 만들때 사운드 작업을 하게 됩니다.


사운드 작업을 열심히 하다 테스트를 하다보면 샘플과 적용된 사운드의 음량이 매우 다르게 들릴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배경음과 효과음이 서로 너무 튀거나 너무 안들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게 사운드의 벨런스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사운드 전문가라면 직접 조절하면 되겠지만 일반 개발자는 이게 쉽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간단하지만 효율적인 내용을 하나 설명 드립니다.


1. Audio Mixer?

 - 이름 그대로 오디오들을 섞어 주는 기본 어셋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설정 방식


a. window -> audio Mixer 클릭


b. Grops 부분에 Master(이름은 크게 상관없음) 로 이름을 변경, 하위로 BGM , SFX를 설정


팁) 게이지 우측의 화살표로 볼륨을 조절 할 수 있습니다.

기본 AudioSource 조절과는 별도 입니다.


c. 중요 설정


I.BGM에는 Duck Volume을 설정


Duck Volume 에는 다양한 옵션이 있습니다.


이부분은 레퍼런스를 참고해서 진행해보시기 바랍니다.


Attack Time = 적용까지 딜레이 시간 ( 작을 수록 즉시 전달 ) 등,




II. Sfx를 누르면 인스펙터 창에 정보가 출력됩니다.


add Effect -> Send 

(BGM에게 음악이 실행되는 부분을 알려 주기 위해서 설정)




Receive에서 BGM\Duck voulme 을 설정 



send level 이 0에 가까울수록 크게 영향을 줌



d. 최종 적용


Audio Source -> OutPut -> BGm OR SFX로 설정





소스로도 아웃풋은 설정할 수 있습니다.

Audio Mixer만 잘 설정해 놓으시면 됩니다.


그럼 즐겁게 좋은 게임 만드세요 ^^

반응형
반응형

게임 개발이 마무리 되어 갈쯤 등록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이미지를 준비해야 합니다.


1.App Icon - 게임 설치 및 마켓 대표 아이콘


2. 스크린 샷 - 등록 시 필요


3. 배너 이미지 - 구글 등록 시 사용



최소로 필요한 경우이며 특정한 경우 추가적인 사이즈가필요 할 수 있으니 미리 체크해보시기 바랍니다.

---------------------------------------------------------------------------------------------------------

분류 

사이즈 

비고 

 App Icon

1024 x 1024  

최초 1024 사이즈로 제작

IOS 서비스를 할 경우, 아이콘 변경프로그램 사용


 Asset Catalog Creator  


android 특정 버전 이상 부터 자체적으로 ICON에 효과를 넣는 경우가 있습니다.


Unity에서 이를 대비한 것인지 배경 과 앞쪽 이미지를 설정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저는 사용하지 않았지만 혹시 모를 경우를 대비하여

(당연히 레이어를 분리했다고 생각하지만) 주의해서 작업해주세요,.

 스크린 샷

<Android>

1080 x 1920 / 1920 x 1080


해당 비율이면 등록시 문제 없음


<IOS>


5.5 ( 1242x2208 / 2208x1242 )

5.8 ( 1124 x 2436 / 2436 x 1125)

 12.9 ( 2048 x 2732 / 2732 x 2048)

각 해상도별 최소 3장의 이미지가 필요


해상도별로 다를필요는 없음


기본 1가지를 변경.

 배너 이미지

[스토어 상단 노출]

1024 x 500


[피처드 용 배너]

180x120

안드로이드에만 해당


스토어 페이지 상단에 노출


피처드 시 사용하는 요도로 알고 있음 


반응형

'개발이야기 > 외부 기능 연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ty cloud Build  (0) 2018.07.16
.12 File  (0) 2018.07.16
Unpacking(난독화)  (0) 2018.07.12
Admob 베너 광고 끄기  (0) 2018.04.04
Google Play Game Center 연동  (0) 2018.04.03

+ Recent posts